Git은 파일 및 폴더의 버전 관리를 위한 도구이지만, 때로는 특정 파일이나 폴더를 버전 관리에서 제외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gitignore 파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gitignore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gitignore 파일 생성하기
.gitignore 파일을 생성하려면 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에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면 됩니다. 파일 이름은 반드시 .gitignore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gitignore 파일 작성하기
.gitignore 파일에는 Git이 버전 관리하지 않아야 하는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이나 패턴을 작성합니다. 각각의 파일이나 폴더는 새로운 줄에 작성합니다. 예를 들어, .log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나 dday 폴더를 제외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log
dday/
위의 예제에서 볼 수 있듯이 *.log와 같이 와일드카드를 사용하여 확장자가 .log인 모든 파일을 제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폴더의 이름 뒤에 슬래시(/)를 붙여 해당 폴더를 모두 제외할 수 있습니다.
gitignore 파일 추가하기
.gitignore 파일을 작성한 후 Git이 해당 파일을 인식하도록 하려면, .gitignore 파일을 Git 저장소에 추가해야 합니다. .gitignore 파일을 Git 저장소에 추가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 git add .gitignore
이후 커밋을 생성하면 .gitignore 파일이 Git 저장소에 적용됩니다.
$ git commit -m "gitignore 추가"
이미 추가된 파일에 gitignore 적용하기
.gitignore 파일을 적용하더라도 이미 Git이 버전 관리하고 있는 파일이나 폴더는 .gitignore 파일을 적용해도 제외되지 않습니다. 이때는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캐시에서 삭제한 후, .gitignore 파일을 적용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 git rm -r --cached . 명령어를 실행해 git에 캐시된 파일들을 모두 제거합니다.
$ git rm -r --cached .

이후 다시 해당 파일들을 다시 추가합니다.
$ git add .
$ git commit -m "Applied .gitignore"
위의 명령어는 .gitignore 파일을 적용하기 전에 캐시된 파일을 삭제하고, 다시 커밋을 생성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러면 이미 올라간 파일들에 대해서도 gitignore이 적용되게 됩니다.
정리
이번 그에서는 .gitignore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gitignore 파일을 적절히 작성하면 Git 저장소에서 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파일이나 폴더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께서 이미 추가된 파일에 gitignore을 적용하는데 많은 문제를 겪으셨을텐데 이 글을 통해 해결했으면 좋겠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Hub, GitHub Action의 차이 알아보기 (0) | 2023.02.21 |
---|---|
Git의 tag란 무엇이고 언제 사용되는가? 생성, 검색, 삭제, 푸시 방법 한 번에 정리하기 (0) | 2023.02.19 |
Git의 user name과 user email 설정하는 방법 알아보고 git config 파일의 위치 알아보기 (0) | 2023.02.18 |
Git Branch 생성, 전환, 이름 변경하는 방법 한 번에 정리하기 (0) | 2023.02.17 |
Git이란 무엇인가? 구조, 주요 기능, 원격 저장소 알아보기 (0) | 2023.02.15 |